<오미자> 효능, 보관 방법, 먹는 법, 부작용 총정리
오미자는 잘 알려져 있듯이 신맛, 단맛, 짠맛, 쓴맛, 매운맛의 다섯 가지 맛을 가지고 있어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중 신맛이 가장 강하게 나며, 기본적으로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타민B1, 철, 단백질, 인, 칼슘 등 좋은 영양소가 풍부하고, 여러 가지 뛰어난 효능들이 많아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식품 중 하나입니다. 오미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는데, 특히 경상북도 문경에서 총 재배량의 50%가량이 생산됩니다. 이번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문경에서 생산된 오미자로 만들어진 탄산 막걸리와 와인이 공식 만찬주로 채택되기도 했는데요. 2012년 APEC 교육장관 회의와 서울 세계 핵 안보 정상회의에서도 국내 와인으로는 유일하게 공식 주로 제공되었으며, 세계 최대의 커피 판매점 스타벅스에서도 '문경오미자 피지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어 그 맛과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효능
호흡기, 기관지 강화
간 건강에 도움
스트레스 감소, 항우울제 효과
노화방지, 뇌 보호, 항암효과
면역력 강화, 피로 해소
원기 회복, 정력 증진
대장, 신장 건강에 도움
기타 효능
오미자 고르는 법과 보관법
· 오미자 열매의 향이 강하고 신맛이 강한 것이 좋으며, 살이 많고 흰 가루가 묻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 속까지 완전히 건조하지 않으면 상하기 쉬우므로 충분히 건조해 냉동실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는 방법
■ 오미자차
1. 건오미자를 차가운 물에 깨끗이 씻고, 차가운 물 1000ml에 오미자 20g을 넣어 하루 정도 우려냅니다. 24시간이 지나면 맛이 강해 지므로 24시간 안에 걸러내는 것이 좋습니다. 뜨거운 물에 우리면 떫은맛과 신맛이 강하게 나기 때문에 차가운 물에 우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끓인 물을 식혀서 우리면 신맛을 더 적게 낼 수 있습니다.
2. 체에 천을 깔고 두 번 정도 걸러내어 마십니다.
+) 설탕이나 꿀을 넣어서 먹거나, 뜨겁게 끓여 먹어도 좋습니다. 백김치나 동치미 등 물김치 종류에 활용하거나, 화이트 와인을 넣어 펀치로 만들어도 좋습니다. 이밖에도 꿀에 재운 앵두를 몇 알 넣으면 새콤달콤한 맛을 더욱 풍부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 건오미자 꿀 발효액
유리병에 건오미자 1, 꿀 1.5의 비율로 넣고 서늘한 곳에서 100일가량 발효시킨 후에 건더기를 걸러낸 후 먹습니다.
■ 오미자청
1. 오미자를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뺍니다.
2. 뜨거운 물로 소독한 유리병에 오미자와 설탕의 비율을 1:1로 해서 오미자 한번, 설탕 한 번씩 번갈아가며 넣고, 맨 위에는 곰팡이를 막기 위해 남는 설탕을 넉넉히 덮어줍니다. 내용물은 병의 80% 정도만 담는 것이 좋습니다.
3. 서늘한 곳에서 3개월 정도 숙성시킵니다. 오미자는 시간이 갈수록 수분이 빠져 떠오르고 설탕은 가라앉기 때문에, 잘 섞어주기 위해서 중간중간 병을 통째로 굴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4. 3개월이 지나면 고운 천이나 보자기에 원액을 걸러내고, 물 1컵에 오미자청 1 티스푼 정도의 비율로 희석시켜 하루 2~3잔 정도 식사 후에 꾸준히 마십니다.
주의할 점 / 부작용
· 신맛이 강하므로 위장이 약한 사람은 연하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 한꺼번에 많이 먹게 되면 복통, 설사와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니 적당량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권장 섭취량은 생과일 경우 하루 20~30알, 발효시킨 액은 하루 4~5스푼 정도입니다.
제철음식 매실의 효능 / <매실청> 담그는 황금비율
제철음식 매실의 효능 / <매실청> 담그는 황금비율 5~6월의 제철음식 매실. 매실은 매실주로 만들어 술로 먹기도 하고, 매실 액기스를 물에 희석해서 여름엔 차가운 음료로, 겨울에는 따뜻한 차
pjhhh.tistory.com
정력의상징 <복분자> 부작용은?
정력에 좋은 음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중에 하나, 바로 복분자다. 오죽하면 소변줄기에 요강이 뒤집어진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 복분자는 정력증진 외에도 남자의 기와 정액을 보충
pjhhh.tistory.com
다이어트, 간해독에 뛰어난 <구기자> 효능과 먹는법, 주의할 점
고지베리라고도 불리는 구기자는 붉은색을 띄고 있으며 달콤하지만 신맛이 나는 열매입니다. 8월에서 9월에 수확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충남 청양군의 청양구기자가 유명합니다. 동양권에서
pjhhh.tistory.com
댓글